팔 비브라토와 손목 비브라토

|

이 주제는 항상 바이올리니스트 들에게 화두에 오르는 주제임에 틀림이 없습니다.


정상급 연주자들은 둘 다 잘 구사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지만 그래도 선호하는 스타일은 있기 마련이겠지요.


인터넷의 논쟁을 찾아보니, 팔 비브라토로 인해서 부상을 입는 경우가 있다고도 하고 낭설이라는 이야기도 있고요.


하이포지션에서는 팔 비브라토가 수월하다는 이야기도 있고요.


1포지션에서는 손목 비브라토가 수월하지만 팔 비브라토도 가능하다는 이야기도 있고요.


Youtube의 동영상을 봐도 같은 동작을 전 계속 팔 비브라토로 보고 있는데,

다른 분은 손목 비브라토라고 보고 있고요.


이게 어쩌면 일관적으로 한종류를 쓰지 않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.


오리지날 손목 비브라토는 팔은 가만 있고, 손목만 움직이고,

오리지날 팔 비브라토는 손목은 가만 있고, 팔이 움직인다고 배웁니다.


그러나, 실제로 동영상 보면 다 움직이거든요. 어느 부분을 경직시킬 수 없기 때문이겠지요.

느리게하면 모르겠는데 빠르게 하면 다 움직이더군요.


사실 손목의 움직이는 방향이 좀 다를 것 같은데요.

손목에서는 손목이 손등쪽으로 꺾이면서 비브라토가 시작이 되는 것 같습니다.

팔에서는 손목 부위를 팔을 이용해서 바깥으로 밀어주는 효과가 나기 때문에

손목이 손 바닥쪽으로 꺾이면서 비브라토가 시작되는 것으로 보입니다.


결국 손바닥의 움직임을 잘 보면 구분이 될 것 같거든요.


근데 또 하이 포지션에서는 손목이 기본적으로 꺾여있는 상태에서 출발하니까 그 구분이

좀 모호한 것 같더라고요.



대표적으로 손목 비브라토를 많이 쓰기로 알려진 연주자는 이작 펄만인 것 같고,

팔 비브라토를 많이 쓰기로 알려진 연주자는 아이작 스턴과 미도리라고 하는군요.

두가지를 동시에 (한곡에서 부분부분이 아니고, 한 음을 두 방법을 혼합해서) 사용한다고 알려진 사람은 하이페츠입니다.


근데 또 다른 연주자도 다 스턴과 미도리 스타일로 보이고 있으니 진짜 뭐가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.

비올라도 연주하는 바이올리니스트, 핀커스 주커만, 줄리안 라츨린은 조금 팔 비브라토가 많아 보입니다.

막심 벤게로프도 좀 그렇고요.


사라장(장영주)는 손목을 좀 더 쓰는 것 같아 보이고요.


펄만은 확실히 남과 좀 다릅니다.


비올라에서는 팔 비브라토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역시 바쉬메트의 비올라 동영상을 보면 강한 팔 비브라토가 들어갑니다.

그러나 또 1포지션에서는 손목 비브라토를 쓰는 것 같기도 하고요.


전 팔 비브라토만 약간 배운지라 그것만 연습하려고요.

And